14 시상하부: 지방과 섭식 조절 및 항상성 유지

신경과학14
시상하부: 지방과 섭식 조절 및 항상성 유지

1. 시상하부의 역할과 기능

시상하부(hypothalamus)는 뇌의 가장 중요한 조절 중추 중 하나로, 신체의 항상성을 유지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온도 조절, 섭식 행동, 에너지 균형, 수면 주기, 스트레스 반응 등을 조절하는 다양한 뉴런들이 존재하며, 여러 호르몬을 분비하는 내분비 시스템과 직접 연결되어 있습니다.


2. 시상하부와 지방 및 섭식 조절

시상하부는 에너지 항상성을 유지하기 위해 지방 대사와 섭식 행동을 조절하는 핵심 부위입니다. 특히 시상하부의 여러 핵(nuclei)이 서로 상호작용하면서 지방 저장, 에너지 소비, 포만감 및 식욕을 조절합니다.

2-1. 시상하부의 주요 핵과 기능

  • 궁상핵(Arcuate nucleus, ARC): 렙틴(leptin), 인슐린(insulin), 그렐린(ghrelin) 등의 호르몬을 감지하여 섭식을 조절하는 주요 신경핵.
  • 외측 시상하부(Lateral hypothalamus, LH): 식욕을 증가시키는 역할을 하며, “섭식 중추(feeding center)”로도 불림.
  • 복내측 시상하부(Ventromedial hypothalamus, VMH): 포만감을 유도하는 “포만 중추(satiety center)”.
  • 시신경교차상핵(Suprachiasmatic nucleus, SCN): 생체 리듬과 연관되어 식사 패턴과 에너지 균형을 조절.

3. 섭식 행동과 호르몬

섭식 행동(feeding behavior)은 다양한 신경 회로와 호르몬의 작용에 의해 조절됩니다.

3-1. 주요 호르몬과 섭식 조절

  1. 렙틴(Leptin)
    • 지방 세포에서 분비되는 호르몬으로, 시상하부에 작용하여 식욕을 억제하고 에너지 소비를 증가시킴.
    • 렙틴 저항성이 발생하면 비만과 과식이 유발될 수 있음.
  2. 그렐린(Ghrelin)
    • 위장에서 분비되며, 시상하부의 외측 시상하부(LH)에 작용하여 식욕을 증가시킴.
    • 공복 시 농도가 증가하며, 식사 후 감소함.
  3. 인슐린(Insulin)
    • 췌장에서 분비되며, 혈당을 낮추고 에너지 저장을 촉진.
    • 시상하부의 궁상핵에 작용하여 섭식 행동을 억제함.
  4. 콜레시스토카닌(Cholecystokinin, CCK)
    • 십이지장에서 분비되며, 포만감을 유도하고 위 배출을 늦춤.
  5. 뉴로펩타이드 Y(Neuropeptide Y, NPY)
    • 시상하부에서 분비되며 강한 식욕 자극 효과가 있음.
  6. 멜라닌 집중 호르몬(MCH) & 오렉신(Orexin)
    • 외측 시상하부에서 분비되며, 섭식 행동과 에너지 균형을 조절함.

4. 섭식 행동의 조절

섭식 행동은 포만감(satiety), 식욕(appetite), 음식 섭취(food intake), 소화(digestion) 등 다양한 생리적 과정과 연관되어 있습니다.

4-1. 포만감과 위 팽만

  • 위 팽만(Gastric distension): 위가 음식으로 인해 팽창하면 미주신경(Vagus nerve)을 통해 뇌로 신호를 전달하여 포만감을 유발.
  • 콜레시스토카닌(CCK): 십이지장에서 분비되며, 포만감을 증가시키고 위 배출을 억제.

4-2. 식욕 조절

  • 시상하부의 궁상핵(ARC)에서 POMC 뉴런이 활성화되면 식욕이 억제됨.
  • NPY와 AgRP 뉴런이 활성화되면 식욕이 증가함.

4-3. 음식 섭취와 소화

  • 음식 섭취 후 혈당이 증가하면 인슐린과 CCK가 분비되어 포만감을 유발.
  • 장 호르몬(GIP, GLP-1)도 포만감을 촉진하고 위 배출을 조절.

5. 동기 부여와 도파민의 역할

도파민(Dopamine)은 보상 시스템과 관련된 신경전달물질로, 음식 섭취와 같은 동기 부여 행동을 조절합니다.

  • 중뇌의 복측 피개 영역(Ventral Tegmental Area, VTA)에서 도파민이 분비되면 보상과 쾌감을 유도
  • 음식을 섭취하면 도파민이 증가하여 섭식을 강화
  • 과식과 음식 중독(food addiction)은 도파민 시스템의 이상과 관련

6. 세로토닌과 섭식 행동

세로토닌(Serotonin, 5-HT)은 기분 조절뿐만 아니라 식욕 억제에도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 세로토닌이 증가하면 식욕이 감소하고, 포만감을 쉽게 느낌.
  • 세로토닌 수용체(5-HT2C)는 POMC 뉴런을 활성화하여 식욕을 억제.
  • 세로토닌 부족 시 감정적 폭식이 유발될 수 있음.

7. 온도 조절과 에너지 균형

온도 조절(thermoregulation)과 에너지 균형(energy balance)은 시상하부에 의해 조절됩니다.

7-1. 시상하부의 온도 조절 기능

  • 전시상하부(preoptic area, POA): 체온을 조절하는 중심 역할.
  • 체온이 낮아지면 갈색지방(BAT)이 활성화되어 열을 생성함.
  • 체온이 높아지면 발한(sweating)과 혈관 확장이 발생하여 열을 방출.

7-2. 에너지 균형 유지

  • 시상하부는 섭취한 에너지를 지방으로 저장할지, 소비할지를 조절.
  • 렙틴과 인슐린 신호가 정상적으로 작용해야 에너지 균형이 유지됨.

8. 결론

시상하부는 신체의 에너지 균형과 섭식 행동을 조절하는 핵심 기관으로, 다양한 호르몬과 신경전달물질이 복합적으로 작용하여 식욕과 포만감을 조절합니다. 또한, 도파민과 세로토닌과 같은 신경전달물질은 동기 부여와 섭식 행동에 중요한 역할을 하며, 온도 조절과 에너지 균형도 함께 조절됩니다.

섭식 행동과 에너지 균형을 조절하는 신경과학적 기전을 이해하면 비만, 대사질환, 섭식 장애 등의 질환을 효과적으로 치료하는 데 도움이 될 것입니다.

Leave a Com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