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 뉴런과 교세포란 무엇인가

신경관학 2

 

목차

 

1.뉴런

1.1 뉴런의 정의

2.뉴런은 몇 부분으로 구분돼 있는가

2.1 세포체(cell body), 신경세포체, 소마(soma)

◈ 핵

◈ 단백질의 기본단위

◈ 아미노산

2.2 뉴런 세포막

2.3 세포골격

2.4 축삭

2.5 수상돌기

3.교세포

3.1 성산 세포

3.2 수초교세포

3.3 기타 세포

 

1.뉴런

 

1.1 뉴런의 정의

뉴런이란 말은 고대 그리스어 νεῦρον로 부터 유래되었습니다.

신경계를 구성하는 단위로 감각뉴런은 척수와 뇌에서 신경흥분을 전달하고 운동뉴런은 뇌나 척수에서 명령을 내리면 근육으로 전달하며, 신경 세포는 신경아교세포와 함께 신 경조직의 기본단위입니다.

뉴런 1개의 축삭과 1~2개 이상의 수상돌기로 이루어져 있으며 뉴런과 뉴런을 연결하는 시냅스를 통해 신호를 주고받아 정보를 저장하는 기능을 합니다.

 

2.뉴런은 몇 부분으로 구분돼 있는가?

뉴런은 몇 부분으로 구분하는데 세포체, 수상돌기, 축삭, 뉴런 세포막으로 구분됩니다.

 

2.1 세포체(cell body), 신경세포체, 소마(soma)

세포체는 뉴런의 중심부이면 원형에 가깝습니다. 세포 안 세포액은 세포막 외부 격리되 있으며 칼륨(K)가 많이 들어있는 용액입니다.

세포체 안에는 막으로 둘러싸인 여러 소기관이 있으며 핵, 조면소포체, 활면소포체,

골지체, 미토콘드리아 등의 여러 소기관들이 있습니다. 핵을 제외한 부분을 세포질이라 고 합니다.

2. 뉴런과 교세포란 무엇인가

◈ 핵(nucleus)

라틴어 nut에서 유래되었으며 원형이며 세포의 중심에 위치하고, 이중 막인 핵막에 둘러싸여 있습니다.

핵 안에는 염색체가 있고 DNA를 포함하고 있습니다. 한 사람의 DNA는 여러 기관에서 도 동일 하고, DNA 조각을 유전자라고 합니다.

DNA는 핵 밖으로 나갈 수 없기 때문에 유전 정보를 세포질의 단백질 합성 장소까지 전 달하고 합성하는 매개체가 필요합니다. 그것을 메신저 리보핵산(mRNA)이라고 하며 mRNA(RNA)는 4개의 핵산이 조합되어 사슬처럼 이어진 구조입니다.

DNA 정보를 보유한 mRNA(RNA)를 합성하는 과정을 전사(transcription)라고 합니다.

◈ 단백질의 기본단위

아미노산(amino acids)이로고 하며, 아미노산 2~50개 정도 결합된

것을 펩타이드(peptide)라 한다. 여기서 분량이 작으면

폴리펩타이드라고 하고, 분자량이 크면 단백질이라고 합니다.

 

◈ 아미노산

2이상 결합 : 디펩타이드, 다이펩타이드

3이상 결합 : 트라이펩타이드

4이상 결합 : 테트라펩타이드

2~10이상 결합 : 올리고펩타이드

10~50이상 결합 : 폴리펩타이드

mRNA(DNA) 정보에 따라 아미노산(amino acids) 단백질로 만드는 과정을 번역 (translation)라고 합니다.

2. 뉴런과 교세포란 무엇인가

◈ 조면소포체

뉴런은 단백질을 합성함으로 유전자에 정보를 이용하며 단백질은 세포질속에 존재하는 리보솜(ribosome)에서 합성되어진다.

뉴런에는 수많은 리보솜이 조면소포체(rough endoplasmic reticulum, rougher))라고 말하며 막으로 둘러싸인 구조에 붙어 있다.

조면 세포체는 뉴런에서 단백질을 합성하는 장소이지만, 모든 리보솜이 조면 세포체에 붙 어 있는 것은 아니다. 자유롭게 떨어져 있고 이를 자유 리보솜이라고 한다.

◈ 조면소포체와 자유 리보솜이 합성하는 단백질의 차이는 무엇일까요

뉴런 세포질에 위치할 단백질이면 mRNA가 조면소포체와 리보솜 대신에 자유 리보솜과 작용하게 된다. 그러나 세포와 소기관 막에 삽입될 단백질은 조면 세포체에서 합성되어진 다. 단백질이 조면 세포체 들어왔다 나갔다 하며 막에 갇히게 된다.

◈ 활면소포체와 골지체

활면소포체는 성질이 달라서 분포 위치에 따라 다른 기능의 일을 한다. 단백질 합성에 직 접 관여하지 아니하고 대신에 세포 안의 물질농도를 조정하는 칼슘 등의 물질의 농도를 조 절 합니다. 소기관에서는 근육세포에 많은데 근소포체라고 합니다.

소마 세포질의 나머지 부분은 리보솜이 없는 활면소포체(smooth ER)며 막으로 쌓인 골 지체(Golgi apparatus)는 단백질 번역 후 변화가 많이 일어나고, 골지체의 주요기능의

뉴런의 여러 부위 축삭이나 수상돌기 등으로 단백질을 분류하는 것으로 여긴다.

 

◈ 미토콘드리아

미토콘드리아(mitochondria)는 세포체에 넉넉하게 존재하는 소기관 중의 하나이며, 소 시지형상을 한 소기관이다. 피부리산, 산소 효소들이 세포질(세포체 안쪽 Cytoplasm)(에 서 미토콘드리아로 들어가 O2를 이용하여 세포의 에너지원인 ATP 합성이 이루어진다.

APT는 생화학 반응을 위한 에너지원이며, ATP에 저장된 화학에너지는 뉴런의 대부분의 에너지를 공급한다.

2. 뉴런과 교세포란 무엇인가

2.2 뉴런세포막

뉴런세포막(neuronal membrane)는 뉴런 내부의 세포 안을 감싸는 역할을 하며 뉴런 밖과 안을 연결하는 통로로써 그중 막단백질은 물질을 세포 밖으로 내보고. 또 다른 단백질은 뉴런 안으로 물질이 들어오도록 한다.

막단백질의 구성이 세포체, 수상돌기, 축삭돌기에 따라 다르게 나타난다.

2.3 세포골격

세포골격(Cytoskeleton)은 뉴런의 모양을 결정하며 미세소관. 미세섬유, 신경섬유 등으 로 구성되어있다. 구성요소들은 지속해서 꿈틀거리며 움직임을 조절합니다.

2.4 축삭

뉴런에 국한돼 있지 않으며 몸의 전체 세포에서 발견됩니다. 뉴런에 존재하는 축삭은 신경계에서 멀리까지 정보를 전달하도록 된 구조이다.

축삭은 축삭둔덕(axon hillock)이라 불리는 부위에서 시작되고 중간 말단구조로 되어 있으며 축삭 말단 또는 종말 팽대부라고 합니다. 축삭은 끝으로 갈수록 가늘어지고 끝 부분에는 부푼 디스크 모양하고 있으며 다른 축삭과 접촉하여 정보를 전달합니다. 접촉 부위를 시냅스(synapse)라고 합니다.

2. 뉴런과 교세포란 무엇인가

축삭에는 조면 세포체가 없고 세포체의 세포막과는 기본적으로 단백질이 다르며 축삭에 서는 리보솜이 없으므로 단백질 합성도 없게 된다.

축삭 세포막의 단백질이 끝까지 신호를 전달하는 전선 역할을 합니다. 축삭은 가지를 만들며 이것을 축삭 가지라고 한다. 축삭 가지는 자신의 축삭과 교감하거나 주변 세포의 수상돌기와 연결됩니다. 축삭을 따라가는 전기 임펄스는 지름에 따라 굵을수록 임펄스 의 속도가 빠르게 전달됩니다.

뉴런이 다른 세포와 축삭 말단의 시냅스와 연결되면 그 세포를 지배하고 이것을 신경 지배를 제공한다고 말합니다.

축삭 말단 세포질은 미토콘드리아가 많아 에너지 수요가 높을 수 있습니다.

 

2.5 수상돌기

수상돌기(dendrite) 세포체에서 나가는 수상돌기가 나뭇가지와 유사하다고 해서 그리시 어 나무에서 유래되었습니다. 수상돌기의 넓게 퍼져있는 모양과 크기가 뉴런을 분류하 는데 사용됩니다.

수상돌기는 뉴런의 안테나와 같은 작용을 하며 수천 개의 스냅스로 덮여있습니다. 수상 돌기 막에는 수용체가 많은 단백질이 존재하며 시냅스 틈에서 신경전달물질을 감지합니 다. 수상돌기 세포질은 축삭과 유사하지만 세포골격 요소와 미토콘드리아로 채워져 있 습니다. 수상돌기 가시 바로 아래에서 종종 폴리 리보솜이 관찰됩니다.

 

3.교세포

교세포는 뇌에서 정보 처리에 중요하게 작용하고 있다. 뉴런의 기능을 보조하며 교세포

없이는 뇌의 정상적 기능하기는 어렵습니다.

3.1 성산 세포

성산세포(astrocytes)는 뇌에 제일 많은 수로 존재합니다. 뉴런 사이의 공간을 채우며 신 경돌기의 성장에 영향을 미칩니다.

성산세포의 세포밖에 공간의 화학조성을 조절하는데 뇌에서 시냅스 교차를 감싸고 있으 므로 신경전달물질의 확산을 제어할 수 있다. 뉴런의 수용체 처럼 신경전달물질에 대한 수용체를 가지고 있고 교세포 안에 전기반응과 화학반응을 일으킬 수 있다. 성산교세포 는 세포 밖의 칼륨 농도를 조절하며 신경 기능을 저해하는 물질의 세포 밖 농도를 치밀 하게 조절할 수 있습니다.

3.2 수초교세포

회돌기세포(oligodendroglial), 슈반 세포(Schwann cells)의 위치와 여러 특성의 주된 기 능을 가지고 있고 축삭을 절연하는 막층을 제공합니다. 회돌기세포는 중추신경계에서만 발견되고 슈반세포는 주변 두개골과 척추 밖에서만 발견됩니다.

 

3.3 기타 세포

여러 세포들이 존재하지만 뇌실막세포(ependymal cell)는 중추신경계의 신경아 세포 중 의 하나이고 뇌척수액의 생성과 연관돼 있으며 신경 재생을 하는 장소의 역할을 하고 있습니다.

미세교세포(microglia)는 퇴화하거나 죽은 뉴런과 교세포에서 남겨진 것을 제거하는 식 세포 역할을 합니다.

 

https://happy-investment.com/%ec%8b%a0%ea%b2%bd%ea%b3%bc%ed%95%99-%ec%9d%b4%eb%9e%80/

Leave a Comment